
호주 약대는 4년 학사를 기본으로 하지만 일부 호주대학교는 석사 과정이 포함된 5년으로 제공하기도 합니다. 졸업 후에는 1년의 인턴쉽과 약사시험을 거쳐 정식 약사로 등록을 하게 되고, 한국에 돌아와 약사시험에도 응시할 수 있습니다. 수학과 화학이 주로 요구되며 학교에 따라 해당 과목들이 선수과목을 요구 되기도 합니다. 전문 의료인이지만 의치대에 비해 진입장벽이 낮고, 장기간 안정적인 고용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이유로 매년 호주와 뉴질랜드 약대 지원자는 늘고 있는 추세 입니다.
$2,071
2,200
학사학위 이상
34%
66%
65%
42,000
출처 http://www.psyscale.com *Pharmacist 기준
세계 순위 | 국가 | 학교 이름 |
---|---|---|
4위 | 호주 | 모나쉬대학교 Monash University |
19위 | 호주 | 시드니대학교 The University of Sydney |
28위 | 호주 | 퀸즐랜드대학교 UQ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
51위 | 한국 | 서울대학교 |
61위 | 호주 | UNSW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67위 | 한국 | 성균관대학교 |
67위 | 한국 | 연세대학교 |
79위 | 한국 | 고려대학교 |
100위 | 한국 | 한양대학교 |
101-150 | 호주 | 뉴캐슬대학교 University of New Castle |
101-150 | 호주 | 시드니공과대학교 UTS (University of Sydney Techology) |
151-200 | 한국 | 중앙대학교 |
151-200 | 한국 | 중앙대학교 |
151-200 | 한국 | 이화여자대학교 |
151-200 | 한국 | 경희대학교 |
151-200 | 호주 | 애들레이드대학교 The University of Adelaide |
151-200 | 호주 | 서호주대학교 UWA (Th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
201-250 | 한국 | 아주대학교 |
201-250 | 호주 | 커틴대학교 Curtin University |
201-250 | 호주 | 그리피스대학교 Griffith University |
201-250 | 한국 | 포항공대 |
201-250 | 호주 | 남호주대학교 UniSA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
출처 : QS WUR by Subject 2025 (Pharmacy & Pharmacology)
학력 조건
수능 (SAT, IB, A Level 등)영어 조건
IELTS 6.5-7.0 (학교에 따라 수학, 화학 등의 선수과목 이수 조건 요구 가능)학력 조건
4년제 대학교 졸업 (학점 중요)영어 조건
IELTS 6.5-7.0선수 과목
화학, 생화학, 생리학, 수학(통계학), 약리학 등 (학교에 따라 선수과목 온라인 이수 가능)호주 영주권학과라고 분류되는 전공들은 보통 MLTSSL이라는 중장기 직업군에 속해 있어서, 졸업 후 점수제 이민의 대표인 독립기술이민을 신청할 수 있는 과정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IT, 간호, 공대, 물리치료, 작업치료, 방사선, 임상병리, 부동산 학과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호주 약사는 MLTSSL 직업군에 포함된 과정은 아니므로 약대를 졸업하더라도, 졸업 후에 독립기술이민을 신청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영주권 추가 점수를 받는 목적으로 인구저밀도 지역을 선택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대신, 최근 발표된 이민법에 근거하여, 졸업 후 취업비자를 통해 취업영주권으로 넘어갈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해 볼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약대를 졸업하고 한국에 돌아와 약사 시험을 보고자 한다면,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정한 호주 약대 중에서 학교를 선택해 볼 수 있습니다. 또는, 졸업 후 한국에 돌아와 졸업한 학교의 학과정에 대한 인정심사를 통과하면, 아직 보건복지부 리스트에 이름이 올라가지 않은 학교를 졸업했더라도 한국 약사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때 학업 4년 + 1년 인턴쉽, 혹은 5년 이상 과정이라는 기간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졸업 후 한국에 돌아와 약사 시험을 보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 석사 2년 과정으로의 진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나쉬대학교
시드니대학교
그리피스대학교
UTAS
UQ
뉴질랜드 전역에서 단 2곳의 대학교에서만 약대 과정을 제공하고 있으며, 1학년과정 동안 Helth Science 전반적인 수업을 듣고 성적, 조건을 충족한 학생에게 약대 2학년으로 진학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됩니다. 총 4년의 학업기간을 거친 후 1년의 인턴쉽을 마치고 뉴질랜드 약사 면허시험을 치루게 되며, 면허 취득 후에는 현지 취업 및 영주권, 또는 한국의 약사시험 준비가 가능합니다.
5년
Good
학사학위 이상
출처 https://www.careers.govt.nz *Pharmacist 기준
학력 조건
수능 250-390 (SAT, IB, A Level 등)영어 조건
IELTS 6.0-6.5기타
1학년 성적으로 약대 2학년 진학 결정오타고대학교
오클랜드대학교
학교에 따라 5~7년 과정의 학부 입학과 4년 과정의 의전원 과정으로 나뉩니다. 졸업 후 1년의 인턴을 거친 후 의사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후 추가 트레이닝을 통해 GP 또는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게 됩니다. 한국에 돌아와 면허시험을 준비하거나 현지에서의 영주권에 도전해 볼 수 있는 직업군입니다. 호주는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1년의 인턴 과정을 거친 후 일반의사가 되고, 추가 전문의 과정 및 전문의 시험을 통해 GP, 즉 한국의 가정의학과 전문의 또는 다른 전문 분야의 전문의가 됩니다.
$2,616
4,900
학사학위 이상
52%
48%
78%
87,300
출처 http://www.psyscale.com *General Practitioner 기준
전 세계 의대 순위 중 200위 이내에 오른 한국과 호주대학교는 총 14개이며, 그 중에 호주대학교는 총 10개로 한국대학교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숫자가 상위권에 랭크되어 있습니다. 호주대학교 중에서는 학부 과정으로 의대과정을 제공하는 학교도 있고, 대학원인 의전원으로 의대를 제공하는 학교도 있습니다. 또한, 일부 학교는 국내에 돌아와 한국 의사 예비시험을 볼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정한 해외대학교 리스트에 포함되기도 했습니다.
세계 순위 | 국가 | 학교 이름 |
---|---|---|
18위 | 호주 | 멜버른대학교 The University of Melbourne |
26위 | 호주 | 시드니대학교 The University of Sydney |
40위 | 호주 | 모나쉬대학교 Monash University |
47위 | 한국 | 서울대학교 |
54위 | 호주 | UNSW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66위 | 호주 | 퀸즐랜드대학교 UQ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
74위 | 한국 | 연세대학교 |
131위 | 호주 | 애들레이드대학교 The University of Adelaide |
132위 | 호주 | 서호주대학교 UWA (Th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
150위 | 호주 | 호주국립대학교 (ANU)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
150위 | 한국 | 고려대학교 |
174위 | 한국 | 성균관대학교 |
188위 | 호주 | 뉴캐슬대학교 The University of Newcastle |
192위 | 호주 | 라트로브대학교 (La Trobe University) |
출처 : QS WUR by Subject 2024 (Medicine)
학력 조건
수능 355-393 (SAT, IB, A Level 등)영어 조건
IELTS 6.5-7.0적성 시험
ISAT or UCAT (학교마다 상이)인터뷰
대학 진학 기록이 있는 경우 학교에 따라 응시 불가 or 높은 학점 요구 가능성UNSW
WSU
UTAS
뉴질랜드에서는 졸업 후 6개월의 경력을 통해 임시의사 면허를 받고, 이를 포함한 총 2년의 수련기간을 거친 후 정식 의사로 등록할 수 있으며, 이후 추가 트레이닝을 통해 GP 또는 전문의 과정 및 시험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뉴질랜드 전역에서 단 2곳의 대학교에서만 의대 과정을 제공하고 있으며, 1학년 과정 동안 Helth Science 전반적인 수업을 듣고 성적, 적성시험, 인터뷰를 통과한 학생에게 의대 2학년으로 진학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됩니다. 총 6년의 학업기간을 거친 후 2년의 House Officer 단계를 거쳐 의사 면허를 취득할 수 있며, 면허 취득 후에는 현지 취업 및 영주권, 또는 한국의 의사 예비시험 준비가 가능합니다.
12년
Good
학사학위 이상
출처 https://www.careers.govt.nz *General Practitioner 기준
학력 조건
수능 250-390 (SAT, IB, A Level 등)영어 조건
IELTS 6.0-6.5기타
1학년 성적, UCAT/UMAT, 인터뷰 등으로 의대 2학년 진학 결정오타고대학교
오클랜드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