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주에서 필요로 하는 직업군 관련 학업을 마친 유학생들이 본인의 영어점수, 나이, 학력, 경력 등을 바탕으로 영주권을 신청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점수제로 운영되는 독립기술이민이 가장 대표적이며, 그 외에 인구 저밀도 지역 주정부/가족 후원비자 또는 인구저밀도 고용주 후원 비자를 거쳐 영주권을 신청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독립 기술 이민은 MLTSSL (Medium and Long-term Strategic Skills List) 직업군에 포함된 직군에 한해 한국에서 학력과 경력을 갖춘 경우 또는 호주에서 학업과 경력을 통해 Point test를 충족하는 경우 신청할 수 있는 영주 비자
최대 5년까지 거주할 수 있는 임시비자, 이 비자를 받은 후 3년간 인구저밀도 지역에서 거주하고 일했다는 사실을 증명하면 영주비자를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을 갖게 됩니다. 인구저밀도 지역의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다른 지역에서 후원할 수 있는 직종보다 더 많은 직업군을 후원할 수 있으며 퍼스, 애들레이드, 타즈매니아, 골드코스트 등의 지역이 대표적입니다.
핵심사항
기존의 RSMS 인구저밀도 고용주 후원 비자를 대체하여 2019년 11월부터 시행되는 비자로 5년간 체류할 수 있는 임시비자입니다. 인구저밀도 지역의 회사에 취업해 후원을 받아 신청할 수 있으며, 비자 승인 후 3년간 거주 및 취업 사실을 증명하여 영주비자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핵심사항
1. 호주학생비자 영어조건 상향 조정 | ||
---|---|---|
학생비자(일반) | IELTS 5.5 | IELTS 6.0 |
본과정 입학 전 어학연수 과정 | IELTS 4.5 | IELTS 5.0 |
파운데이션/패스웨이 | IELTS 5.5 | 유지 |
2. 졸업생 나이 및 영어점수 조건 변경 | ||
---|---|---|
나이 제한 | 50세 | 35세 |
영어점수 | IELTS 6.0 | IELTS 6.5 |
3. 졸업생비자 기간 변경 | ||
---|---|---|
학사 | 2년 | 2년 |
석사 (Coursework) | 3년 | 2년 |
석사 (Research) | 3년 | 3년 |
박사 | 4년 | 3년 |
인구저밀도 지역 추가 기간 | 1-2년 | 1-2년 |
특정 전공 추가 기간 | 2년 | 폐지 |
4. 취업비자 TSS 482 → Skills in Demand Visa 주요사항 (2024년 12월부터 변경) | ||
---|---|---|
Stream 구분 | 소득 | |
Core Skills | 연봉 최소 AUD $76,515 | |
Specialist Skills Income Threshold | 연봉 최소 AUD $141,210 | |
Labour agreement | 직업별 협약에 따라 다름 |
호주의 전문대학 과정은 직업 기술 전문 교육 과정으로 VET(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이라고 합니다. 이론과 실기 수업을 병행하며 실무 중심의 교육 체제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VET 과정은 주정부에서 운영하는 주립 전문대학인 TAFE(Tachnical And Further Education)과 사립 전문대학인 College(컬리지)에서 운영하며 수료증(Certificate)부터 디플로마(Diploma), 고급 디플로마(Advanced Diploma)까지 다양한 과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일부 TAFE 및 College에서는 학사(Bachelor) 학위까지 제공하기도 합니다. 전문 과정 수료 후 호주 대학교로 진학 및 편입할 수 있습니다.
학력 조건
고등학교 졸업 또는 동등한 학위영어 조건
IELTS 6.0 (학과에 따라 상이)공인 영어 시험 및 어학연수로 대체 가능TAFE NSW
TQI
TAFE SA
TAFE WA (TIWA)
윌리엄앵글리스